티스토리 뷰
목차
극소량만 넣어도 달달함이 유지되는 사카린. 얼마나 매력적인가요?
인공감미료 중 사카린이 무엇인지, 사카린의 안전성과 사카린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사카린 이란?
사카린은 독일 화학자 콘스탄틴 팔베르크가 1879년 유기화학반응을 연구하며 우연히 발견하였습니다.
어느 저녁 팔베르크는 실험을 한 후 집에서 저녁을 먹고 있는데 그날따라 유독 빵이 달게 느껴졌다고 합니다. 그는 곧 자신의 손이 닿는 무엇이든 단맛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실험실로 달려가 단맛의 정체가 자신이 연구하던 톨루엔 유도체의 산화에서 발생한 화합물이란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라틴어로 설탕을 의미하는 사카룸에서 따서 이 물질을 사카린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 사카린 묻은 미다스의 손
이렇게 우연히 발견한 사카린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카린은 가장 오랫동안 알려진 인공 감미료로 설탕의 300배 강력한 단맛을 냅니다.
- 또한 사카린은 우리 몸속으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설되어 칼로리가 전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과 당뇨병 환자의 대체 감미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낮은 온도에 안정하며 150도 1시간 후에도 사카린은 변함없이 유지됩니다.
- pH 3.3~8.0 넓은 범위에서도 안정성을 나타냅니다.
2. 사카린 안전성
사카린은 미국에서 1900년대부터 널리 사용되어 설탕이 부족하던 세계대전 시기에 사용이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1957년에 미국에서 식품첨가제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한국에서는 6.25 전쟁 후 어려웠던 시기에 널리 보급되었습니다.
하지만 과다 섭취가 방광암을 유발한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발표되어 사카린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사카린 함유 제품에는 건강이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문을 부착하였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평생 동안 매일 800캔의 청량음료를 마셔야 하는 양의 사카린을 쥐에게 먹인 것으로 판명 나게 되어 미국 국립 환경보건학연구소는 사카린이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물질이 아니라는 최종적인 결론을 내렸습니다.
- 사카린은 인체에 흡수되지 않고 24시간 이내에 배설되기 때문에 유해성이 낮습니다.
- 50년 이상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안전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 사카린이 잠재적 발암물질 목록에서 삭제되어 현재는 섭취하기에 안전한 첨가물로 인정되었습니다.
- 현재 사카린은 우리나를 포함해 전 세계 90개 이상의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때 잠재적인 발암물질 리스트에까지 올랐던 사카린에 대해 20여 년 간의 논쟁결과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와 같은 다른 감미료들의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사카린 부작용
①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높일 수 있습니다.
사카린이 들어 있는 시중 제품에는 설탕(포도당)과 혼합된 제품이 많이 혈당을 올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매 시 제품의 원재료와 함량을 잘 살펴 다른 당이 없고 사카린나트륨만 함유된 제품을 섭취하여야 당뇨병 환자의 대체감미료로 좋습니다.
② 사카린은 설파제에 과민한 사람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설폰 아마이드 화합물을 형성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은 피부자극 두통, 설사, 호흡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③ 사카린은 씁쓸한 뒷맛이 있어 다양한 첨가물 섭취합니다.
사카린 0.02% 이상에서는 쓴 뒷만을 가집니다. 쓴 맛을 가리기 위해 타르타르 크림이나 덱스트로스 등을 첨가하여 첨가물을 많이 섭취할 수 있습니다.
KFDA의 엄격한 독성평가과정을 통한 안전성이 입증되었다고 하더라도 인공감미료 섭취에 불안한 건 사실이다. 실제 식품첨가물 중에서 장시간 사용하다 그 부작용이 발견되어 사용이 금지된 종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공감미료라고 필요이상으로 꺼릴 필요는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사카린 사용기준에서는 절임식품류(김치류 제외), 어육가공품, 청량음료(유산균 음료 제외) 및 특수영양식(이유식 제외) 이외의 식품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카린의 하루 섭취 허용량은 체중 1kg당 5mg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몸무게가 60kg이라면 300mg이 1일 섭취허용량입니다.
하루 섭취량 허용량을 지키며 섭취한다면 우리 몸에는 해롭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정리하며
당 섭취로 인한 건강문제를 줄이고, 소량으로도 단맛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공 감미료 사카린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일 섭취량을 초과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제품 구입 시에는 성분과 구성비를 잘 살펴 섭취하면 건강한 단맛을 즐길 수 있지 않을까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아스파탐 부작용, 제로 콜라 계속 먹어도 될까요?
다이어트를 위해 제로 콜라를 드시나요? 제로콜라는 칼로리가 "0 "이라는 말에 솔깃하게 됩니다. 심지어 우리가 좋아하는 달콤 한 맛을 유지하기 때문에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먹는
baramlovely2033.tistory.com
'건강과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P(엠비피) 효능 3가지와 효과적으로 섭취하는 방법 (0) | 2023.06.20 |
---|---|
콜라비의 모든 것 - 효능, 먹는법, 손질과 보관 (0) | 2023.04.13 |
미나리 보관법, 손질 꿀팁, 효능, 좋은 미나리 고르는 방법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