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4월 10일 본투표일에 사정이 있어 선거를 못 간다면 사전투표일에 미리 투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국 사전투표소 어디든지 투표할 수 있습니다.
회사나 집에서 가까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 투표소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 투표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 투료일은 2024년 4월 5~6일(2일간)입니다. 선거일에 출근하시거나 주소지에서 투표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전 투표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사전투표 : 4월 5일(금) ~ 6일(토)
- 선거일 : 4월 10일(수)
- 시간 : 오전 6시 ~ 오후 6시
- 준비물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복지카드, 여권 등)
가까운 사전 투표소는 아래에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 투표소 찾기
사전투표소는 전국 어디서나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회사나 집에서 가까운 사전 투표소를 찾으셔서 투표하시길 바랍니다.
1. 사전투표소 현황에서 [시/군/구]를 선택합니다.
2. 사전투표소를 확인합니다.
주소와 장애인 편의시설, 약도까지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대부분 주민센터와 주민센터 외에도 장애인복지관 등에서 사전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지역마다 사전투표소가 다르니 꼭 위치를 확인하시고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 확인
국회의원은 총 300명이고 254명, 비례대표 46명에 보궐선거까지 실행합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에는 지역구, 비례대표를 뽑습니다. 용지는 총 2장으로 지역구 의원을 뽑는 투표용지는 흰색입니다.
- 국회의원 : 국민을 대표해서 일하며, 총 300명을 뽑습니다.
- 지역구 의원 : 국회의원 300명 중 지역을 대표해서 일하며 총 254명을 뽑습니다.
- 비례대표 의원 : 정당을 대표해서 일합니다. 국회의원 300명 중 46명이 비례대표입니다.
우리 지역의 후보자를 확인하시고 신중하게 1표를 선사하시면 어떨까요. 우리 지역 후보자를 찾아보세요.
1. 국회의원 선거 또는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를 선택합니다.
2. 조회 조건에서 거주지 시도/선거구를 선택한 후 찾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우리 동네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를 확인합니다.
소속 정당명과 직업, 학력, 재산 신고액, 납세실적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회의원 투표 시 주의사항
1. 사전투표시 관내 선거와 관외선거로 나뉩니다.
- 관내 선거 : 본인 확인하기 → 서명하기 → 투표용지 받기 → 기표하기 → 투표함 넣기
- 관외 선거 : 똑같은 절차로 진행하지만 다른 동네 사전 투표소에서 투표하는 경우 투표지를 회송용 봉투에 넣은 후 투표함에 넣습니다.
2. 도장은 투표소 안에 있는 것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필이나 펜으로 표시하면 무효표 됩니다.
3. 투표용지에 도장은 딱 한 번만 찍어야 합니다. 여러 후보자에 찍거나 네모칸을 벗어난다면 나의 표가 무효된다는 것 참고하세요.
4. 투표소 안에서 사진 촬영은 금지입니다.
투표 인증숏을 찍으시려면, 밖에서 찍으시길 바랍니다.
5. 비밀 선거를 지켜주세요.
몇 번 후보자에게 투표했다고 말하는 것은 공직선거법을 어기게 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투표 안내 책자, 영상, 투표 방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국회의원 투표 시 주의사항
투표는 국민의 권리이자 누구나 소중한 1표는 주어집니다. 혹시 거동이 불편하거나 혼자서 도장 찍기가 어렵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거동이 불편하신 경우
휠체어를 이용하여 거동하셔도 됩니다. 또한 투표소를 갈 때 활동지원사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선거관리위원회에 전화해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2. 손이 불편한 경우
손이 불편해서 도장을 잡기 어려운 경우 보조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혼자서 도장을 찍기 어렵다면 가족, 지인, 투표 사무원 등 2명이 함께 들어갈 수 있습니다.
3. 점자 안내가 필요한 경우
투표소에서 점자로 된 보조 도구가 있습니다.
4. 수어 안내가 필요한 경우
선거관리위원회에서 만든 공식 수어 영상이 있습니다. 투표소에서 도움이 필요하다면 영상통화로 수어 통역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제 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소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본투표일에 시간이 안된다면 사전투표를 활용하시는 건 어떨까요. 소중한 내 1표 버리지 말고 가치 있게 쓰시길 바랍니다.
혹시, 점자나 수어 안내가 필요하다면 선거관리위원회에 도움 받으시길 바랍니다.